Logo
  • 회사소개
  • 자문받는 법
  • 인사이트
  • 정보나눔
  • 오시는 길
  • 로그인
대표전화+822 2138 0180
팩스070 5014 1026
이메일official@teyvat.io
테이바투자자문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32길 8, 4층
대표이사 강승희 / 사업자등록번호 850-81-03468
금융투자업 등록번호 제2025-30호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FINE) 금융회사정보)

Copyright © 2025 Teyvat Investment. All rights reserved.

[TNT] 주간 투자 전략 브리핑 (251022) : 빅테크 실적시즌 돌입

2025년 10월 21일・테이바투자자문

요약: 빅테크 실적시즌, 관망 속 기회 탐색

시장은 예측이 어려운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 주는 향후 AI 테마의 향방을 결정할 빅테크 실적 발표가 예정된 중요한 분기점입니다. 저희는 성급한 추격 매수를 지양하고, 'AI + 전력 인프라'라는 트렌드에 계속 주목하며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할 것입니다. 명확한 가격 기준에 따른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통해 변동성 장세에 대응하는 전략을 제안합니다.

1. 현재 시장 진단: 주도주 중심의 변동성 장세

  • 실적 기반의 선별적 상승: 현재 시장은 전반적인 상승세 속에서도 실적이 뒷받침되는 소수의 주도주가 이끌 것으로 보입니다. 오르는 종목이 계속 오르는 '모멘텀'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나, 고평가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있기 때문에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 종목은 급락의 위험을 안고 있어 종목 선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 고점 부근의 높은 변동성: 시장이 전고점 부근에 위치해 있어 변동성이 매우 높습니다. 섣부른 추격 매수는 오히려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단기 매매보다는 우량주 중심의 장기적인 관점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2. 핵심 테마 진단: AI 실적시즌과 전력 인프라의 부상

  • AI, 빅테크 실적 발표가 분수령: 최근 주춤했던 AI 관련주는 이번 주를 기점으로 중요한 변곡점을 맞이할 것입니다. 넷플릭스, 테슬라를 시작으로 다음 주 메타, 알파벳 등 핵심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결과가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는지에 따라 AI 섹터의 단기 방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 새로운 주도주, 전력 인프라: 시장의 관심은 AI를 넘어 'AI를 구동하는 에너지'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AI 데이터센터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로 인해 전력 인프라 관련주가 주도 테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전력 테마를 하나의 '묶음'으로 보고 접근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 미-중 AI 경쟁 구도와 새로운 기회: 미국이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는 AGI(범용인공지능) 개발에 집중하는 반면, 중국은 '저전력'과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독자적인 AI 노선을 걷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반도체 시장에 새로운 투자 기회가 열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3.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

  • 기존 포트폴리오 점검 및 매도 기준 설정: 최근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약해진 비트코인과 코어위브(Coreweave)는 '지난주 저점'을 이탈할 경우,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할 예정입니다.

  • 신규 편입 검토 - 중국 반도체 ETF : 위의 두 자산을 매도할 경우, 그 자금을 활용해 중국 반도체 ETF(예: TIGER 차이나 반도체FACTSET)를 약 10% 비중으로 신규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이는 미-중 기술 경쟁 구도 속에서 리스크를 분산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 핵심 우량주 유지: 장기적인 AI 성장성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아마존, 구글,알리바바 등 핵심 우량주는 계속 보유하며 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합니다.

4. 리스크 관리 및 구체적인 매매 전략

  • 매수 전략: '확인 후 진입' 원칙 고수: 현재 시장의 기본 시나리오는 '관망'입니다. 섣부른 매수보다는 명확한 신호를 확인하고 진입하는 전략을 유지합니다.

    • 전략 1 (상승 시): 나스닥 기술주는 의미 있는 전고점을 돌파하며 신고가를 갱신할 때 추격 매수로 주식 비중 확대 예정입니다.

    • 전략 2 (하락 시): 시장이 조정을 받을 경우, 하락 저점을 확인한 후 반등하는 흐름에 동참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 AI 버블 리스크 경계: 향후 전력 부족 문제가 현실화되어 데이터센터 가동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AI 기업들의 매출 성장이 예상보다 더딜 경우 버블이 터질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을 항상 인지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결론

시장은 빅테크 실적 발표라는 중요한 이벤트를 앞두고 숨을 고르고 있습니다. 이에 저희는 뇌동매매를 지양하고, '신고가 돌파' 또는 '조정 후 반등 확인'이라는 명확한 원칙에 따라 신중하게 시장에 접근할 것입니다. 또한, AI와 전력이라는 핵심 테마의 흐름을 주시하고, 중국 반도체라는 새로운 대안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는 것을 고려하며 유연하게 시장 변화에 대응해 나가겠습니다.

상품가입방법